|
연수소개
학습목표
-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해 유아와 놀이, 교사의 중요성을 알고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다.
- 다양한 놀이 에피소드 속 놀이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놀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역량을 키우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교사의 놀이에 대한 신념, 유아 및 놀이에 대한 관점 변화, 유아의 개별 놀이 특성에 따른 지원 방안, 학부모 및 동료 교사관계 등 현장의 다각적 고민과 해결 방안을 알고 실제 상황에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다.
학습개요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으로 유치원 현장에서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많은 고민과 실천적 노력이 있었다. 이에 현장 교사들의 실제 사례 속 고민과 성찰 나눔을 통해 변화하는 교육과정 속 교사의 역할 및 교사의 지원 방안 등을 강조하며 현장 적용성을 높인다.
-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유아와 놀이에 대한 이해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현장 교사들의 놀이 에피소드를 통한 놀이의 의미 읽기 과정을 함께 살펴보며 놀이 지원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인다.
-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교육적 고민에 대한 수평적 관계의 놀이 코칭을 통해 하나의 정답이 아닌 다양한 해답을 찾아가는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 유아, 교사, 학부모가 함께 만들어가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해 교육공동체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 형성 과정 및 방안을 제시한다.
평가기준
진도율(필수) | 진도90% 이상 |
---|---|
시험(필수) | 30% |
학습참여(필수) | 50% |
강의평가(필수) | 20% |
출석시험 | 없음 |
합계 | 100% |
- * 이수기준 진도율 - 90% 이상
- * 이수기준 점수 - (학습진도율 90% 이상, 온라인시험, 학습참여, 강의평가 응시),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연수후기
연수목차
- 1
놀이 코칭으로 놀이 에피소드 바라보기
- 2
유아가 원하는 것을 모두 들어줘야 할까?
- 3
놀이의 의미 읽기, 그것이 알고 싶다
- 4
놀이 에피소드 (1) 놀이의 소란스러움
- 5
놀이 에피소드 (2) 놀이의 주체, 유아
- 6
놀이 에피소드 (3) 연령별 특성에 따른 지원
- 7
놀이 에피소드 (4) 충분한 탐색과 창작놀이
- 8
놀이 에피소드 (5) 놀이 속 실패 경험
- 9
놀이 에피소드 (6) 반복놀이
- 10
놀이 에피소드 (7) 일상 속 발견
- 11
교사의 말이 달라지면 놀이도 달라진다?
- 12
고민은 나누고 전문성을 커지는 학습공동체
- 13
학부모 소통, 놀이로 통하다
- 14
교사, 생각을 디자인하다
- 15
놀이 에피소드와 함께 성장하다
강사소개
강사명 | 김연진 |
---|---|
● 현 유아교육디자인연구소 소장 [저서] |
강사명 | 이선혜 |
---|---|
● 현 숲속해뜰유치원 원감 [저서] |
강사명 | 허윤선 |
---|---|
● 현 양주유치원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