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수소개
학습목표
2. 행복, 자연환경, 생활공간, 인권, 시장, 정의, 세계화, 지속 가능한 삶 등 우리 사회가 당면한 주요 현안들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과정에서 공간적 관점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3. 보다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공간적 실천이 무엇인지를 성찰할 수 있다.
4. 인간과 자연, 사회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삶의 현장인 공간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구상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개요
2017학년도부터 초중고 학교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별로 분절된 단순한 사실이나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학습의 전이가 높은 ‘핵심개념(Key Concept)’들을 가르침으로써 개별 교과의 영역을 뛰어넘는 통합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핵심개념은 일반개념과 달리 개별 교과의 학습주제나 소재를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빅 아이디어(Big Idea)’나 조직 원리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력 및 융합적 사고와 깊은 접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이러한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핵심개념들인 행복, 인권, 정의 등을 인간의 삶의 터전인 ‘공간’을 통해 새롭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왜 공간일까요? 공간은 인간과 자연, 사회를 모두 품고 있는 총체적인 구성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어떤 것보다도 인간의 삶과 사회 현상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인식의 창(窓)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과정은 인간의 삶과 사회현상을 이해할 때 왜 공간적 관점이 필요한지를 우리 주변에서 펼쳐지는 생생한 사례들을 통해 구체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평가기준
진도율(필수) | 진도90% 이상 |
---|---|
시험(필수) | 30% |
학습참여(필수) | 50% |
강의평가(필수) | 20% |
출석시험 | 없음 |
합계 | 100% |
- * 이수기준 진도율 - 90% 이상
- * 이수기준 점수 - (학습진도율 90% 이상, 온라인시험, 학습참여, 강의평가 응시),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연수후기
연수목차
- 1
인간과 사회를 품은 키워드, 공간
- 2
공간을 통해 행복을 보다
- 3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묻다
- 4
새로운 공간의 선택과 개발은 어떻게 서울을 만들었나?
- 5
어린 시절 그 동네는 어떻게 아파트 숲에 주도권을 내줬나?
- 6
인구가 증가해야만 성장할 수 있을까?
- 7
비싼 커피 값, 부동산 임대료 때문이라고?
- 8
민달팽이 세대와 지옥고를 아시나요?
- 9
님비(NIMBY)는 지역 이기주의일까?
- 10
공업단지는 왜 ‘그곳’에 있을까?
- 11
자본주의 경제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 12
국경은 안보의 장벽인가? 교류의 통로인가?
- 13
지구촌 이민자들이 오늘도 국경을 넘는 까닭은?
- 14
에너지 다양화 시대, 우리의 선택은?
- 15
먹방, 쿡방의 홍수 속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강사소개
강사명 | 황규덕 |
---|---|
경력 |
강사명 | 김기남 |
---|---|
경력 저서 |
강사명 | 최영진 |
---|---|
경력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시간강사(2015년 3월~현재) -서울시 교육청 소속 공립고등학교 지리교사(1991년 3월~현재) |
강사명 | 임미영 |
---|---|
경력 저서 |
강사명 | 윤신원 |
---|---|
경력 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