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바샘 원격교육연수원
본문 바로가기

연수신청

직무 15시간  1학점 수업향상
공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황규덕 외 4명
50,000

재화의 정보에 관한 사항(이러닝)

1. 제작자 또는 공급자: (주)비상교육
2. 이용기간: 콘텐츠 구매 시, 신청한 연수 기간 동안 이용 (이후 복습기간 1년 제공)
3. 상품 제공 방식: 연중 무휴, 24시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4. 최소 시스템 사양, 필수 소프트웨어:
 -CPU의 경우 듀얼코어 1.5GHz급 이상을 권장하며, 운영시스템은 Windows 10이상의 운영시스템을 필요로 합니다. 브라우저는 Edge, 크롬, 파이어폭스 등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5. 청약철회 또는 계약의 해제 해지에 따른 효과: 구매자의 단순변심에 의한 경우 콘텐츠 제공(연수 시작일) 7일 이내에 청약 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6. 소비자 상담 관련 전화번호: 비바샘 원격교육연수원 고객센터 1544-9044

연수소개

학습목표

1. 공간과 사회의 내적인 연관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2. 행복, 자연환경, 생활공간, 인권, 시장, 정의, 세계화, 지속 가능한 삶 등 우리 사회가 당면한 주요 현안들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과정에서 공간적 관점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3. 보다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공간적 실천이 무엇인지를 성찰할 수 있다. 
4. 인간과 자연, 사회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삶의 현장인 공간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구상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개요

2017학년도부터 초중고 학교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별로 분절된 단순한 사실이나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학습의 전이가 높은 ‘핵심개념(Key Concept)’들을 가르침으로써 개별 교과의 영역을 뛰어넘는 통합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핵심개념은 일반개념과 달리 개별 교과의 학습주제나 소재를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빅 아이디어(Big Idea)’나 조직 원리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력 및 융합적 사고와 깊은 접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이러한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핵심개념들인 행복, 인권, 정의 등을 인간의 삶의 터전인 ‘공간’을 통해 새롭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왜 공간일까요? 공간은 인간과 자연, 사회를 모두 품고 있는 총체적인 구성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어떤 것보다도 인간의 삶과 사회 현상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인식의 창(窓)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과정은 인간의 삶과 사회현상을 이해할 때 왜 공간적 관점이 필요한지를 우리 주변에서 펼쳐지는 생생한 사례들을 통해 구체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평가기준

평가기준 표
진도율(필수) 진도90% 이상
시험(필수) 30%
학습참여(필수) 50%
강의평가(필수) 20%
출석시험 없음
합계 100%
  • * 이수기준 진도율 - 90% 이상
  • * 이수기준 점수 - (학습진도율 90% 이상, 온라인시험, 학습참여, 강의평가 응시),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연수후기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수목차

  • 1

    인간과 사회를 품은 키워드, 공간

  • 2

    공간을 통해 행복을 보다

  • 3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묻다

  • 4

    새로운 공간의 선택과 개발은 어떻게 서울을 만들었나?

  • 5

    어린 시절 그 동네는 어떻게 아파트 숲에 주도권을 내줬나?

  • 6

    인구가 증가해야만 성장할 수 있을까?

  • 7

    비싼 커피 값, 부동산 임대료 때문이라고?

  • 8

    민달팽이 세대와 지옥고를 아시나요?

  • 9

    님비(NIMBY)는 지역 이기주의일까?

  • 10

    공업단지는 왜 ‘그곳’에 있을까?

  • 11

    자본주의 경제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 12

    국경은 안보의 장벽인가? 교류의 통로인가?

  • 13

    지구촌 이민자들이 오늘도 국경을 넘는 까닭은?

  • 14

    에너지 다양화 시대, 우리의 선택은?

  • 15

    먹방, 쿡방의 홍수 속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강사소개

강사소개 표
강사명 황규덕

경력
-중등 수업실기대회 사회과 1등급 수상(경기도교육청)
-중학교 ‘사회’ 교과서 공저(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EBS ‘TV중학’ 및 ‘예비중학’ 공저(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세계시민’ 교과서 대표 저자
-자유학기제 독도프로그램 공저
-‘통합사회를 시작하는 첫걸음’ 공저
-전 경기도교육청 NTTP 지리교육연구회 회원
-전 경기도교육연구원 우수수업 동영상 개발위원
-현 전국지리교사모임 회원
-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회원

강사소개 표
강사명 김기남

경력
-현 예당고등학교 교사
-중학교 '사회1,2' 교과서 집필 참여(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여행지리' 교과서 집필 참여


저서
-『오싹오싹 동굴탐험,2016』등 탐험시리즈 3권 공저
-『통합사회를 위한 첫걸음,2018』 공저
-『도시와 권리,2012』공저
-『현대지리교육학의 이해.2018』공저

강사소개 표
강사명 최영진
경력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시간강사(2015년 3월~현재)
-서울시 교육청 소속 공립고등학교 지리교사(1991년 3월~현재)
강사소개 표
강사명 임미영

경력
-현 대인고등학교 근무
-2017년 교육부 통합사회 선도교원 연수 강사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참여


저서
-『통합사회를 위한 첫걸음,2018』 공저

강사소개 표
강사명 윤신원

경력
-1996.03~현재. 성남고등학교 근무
-1996.05~현재. 전국지리교사모임 임원(회장, 총무, 연구부장 등 활동)  다수 교과연구모임 활동,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서울시교육연수원 등 강의
-2010.01.21~2012.01.20. 교과용도서 검정심의회 검정위원
-2012.01.01~현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이사
-2012.07~현재. 티처빌 원격직무연수 강사
-2017.02~2018.08. 한국언론진흥재단 광주, 전주, 대전 연수 강사


저서
-지리교양 도서 공저 : 『지리, 세상을 날다』,『통합사회를 위한 첫걸음』,『지리쌤과 함께하는 우리나라 도시 여행』, 『세계지리, 세상과 통하다1,2』,『지리쌤과 함께하는 80일간의 세계여행1,2』

연수기간 선택 (복습기간 1년)
loading